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11장 주요 병해충
    베리정보/스토르베리_딸기 2012. 3. 22. 18:33


    제11장 주요 병해충




    문85 레드펄 품종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충은?

    육묘시 주의할 점은 위황병에 약하므로 무병모주를 사용하고 새로운 경작지에서 육묘하며 탄저병은 여봉보다 강하므로 비가림재배가 좋으나 노지육묘도 가능하다. 런너 발생은 많으나 봄 가을에 잎이 붉게 변하는 흑반병 증상이 나타난다. 석회가 결핍된 토양에서 육묘하면 잎끝이 오그라들고 타들어가는 칼슘결핍 증상을 보인다. 남부지역의 일부 농가에서는 선충 피해도 나타나고 있고, 정식포장에서는 흰가루병에 좀 약한 편이나 여봉보다 심하지는 않다. 대체적으로 치명적인 병충해 피해는 적으므로 육묘나 재배시 큰 어려움은 없다.


    위황병


    칼슘 결핍


    거세미나방



    문86 탄저병 증상과 방제방법은?

    육묘기에 대부분의 병해는 발생되더라도 방제가 가능하지만 탄저병은 한번 발병하면 치료가 어렵다. 특히 장마기에 급속도로 번지고 곧 말라죽게 되므로 묘 부족을 초래하기가 쉽다. 대부분의 촉성용 품종(여봉, 장희, 도치오토메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30전후로 고온을 좋아하며 수분이 많을 경우 전염이 심하다. 특히 고온다습기인 여름철에 발생이 많다. 병반은 런너와 잎, 크라운, 엽병에서 형성되며 런너에는 방추형으로 함몰되어 흑변되며 심하면 휘어 부러진다. 탄저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감염되지 않은 무병모주를 사용하여 비가림 재배를 하는 것이다. 탄저병은 포자가 물방울과 함께 비산하여 전파되기 때문에 비가림 재배를 하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가 있다. 육묘시 하엽제거를 할 때 제거부위를 통해 감염될 우려가 많아 하엽제거는 맑은날에 하고 하엽제거후 방제를 철저히 한다. 또 질소질이 많으면 탄저병에 약해지므로 가급적 적게 준다. 국내에 고시된 약제는 없지만 많이 사용되는 약제는 아미스타, 오티바, 실바코, 바이코 등이 있다.


    딸기 품종간 탄저병 발병정도

    품종

    장희

    미홍

    아까네꼬

    여홍

    여봉

    도치오토메

    수홍, 보교

    발병율(%)

    24.6

    22.7

    21.7

    20.4

    16.5

    12.3

    0


    탄저병 증상



    문87 흰가루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은?

    딸기 흰가루병은 대부분의 품종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장희, 여봉, 여홍 등에서 발생이 심하다. 잎의 표면에 하얀 밀가루 뿌린 것처럼 뒤덮히며 잎이 말리는 특징이 있다. 잎 이외에도 꽃대, 꽃잎, 과실 등에도 나타나며 꽃잎에 감염되면 꽃잎이 붉은색으로 변한다. 병원균은 20전후에서 발아되는 비교적 저온성 병원균이다. 밤낮의 일교차가 심한 경우에 발생이 많고 너무 습해도 발생하고, 건조해도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방제는 육묘기부터 실시하며 정식전에 방제한 후 정식에 들어간다. 정식후는 개화전까지 정기적으로 예방위주로 살포한다. 국내 고시된 약제는 많이 있으나 내성이 있기 때문에 한가지 약제를 계속 사용하지 않고 다른 계통의 약제를 바꾸어 가면서 사용한다. 희석할 때는 전착제를 첨가하면 방제효과가 높다. 특히 흰가루병은 민간요법이라하는 처방이 지역마다 많이 있으나 실제로 검증된 바는 적다.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는 산요루, 더마니, 트리후민, 해비치 등이 있다. 유황분말도 멀칭전에 많이 사용(3~4㎏/10a)되고 있다.


    정식전에 모주를 침지하자

    최근 도입된 신품종인 장희 품종은 흰가루병 방제가 가장 큰 문제로 지역마다 농가별 민간요법이 다양하다. 그러나 효과면에서는 정확히 검증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딸기시험장에서 연구한 바에 의하면 정식전 침지처리가 정식후 경엽처리보다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산요루 500배액에 10분간 침지하면 방제가가 84.3%인데 반해 정식후 경엽처리하면 66%로 정식전 침지가 효과가 뛰어나다.

    저독성 물질을 이용한 흰가루 방제

    저독성 물질인 BTC2125M(500배)과 소다(250배)를 500배액의 산요루 약제와 처리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BTC2125M(500배)에서 산요루 약제 처리와 비슷한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농약을 살포하지 않는 무공해(자연) 농산물 생산의 흰가루병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므로 권장할 만하다.


    저독성 물질 처리 11일후의 흰가루병 방제효과

    처리약제

    흰가루병 방제가(%)

    BTC2125M

    76.6

    소다(250배)

    18.1

    산요루(대조약제)

    77.7


    산성수로 흰가루병 방제

    저농약 안전 농산물 생산, 환경보존형 농업이 대두되면서 새로운 개념의 병해충 방제가 시도되고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만들어지는 살균력이 뛰어난 전해산성수가 그것으로 물에 소량의 염(NaCI, KCl)을 첨가하여 백금과 티타늄 합금 전극으로 구성된 전기분해장치를 통과시키면 혼합물(NaCI + H2O)이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양극(+)에서 pH 2.6이상의 강산성 전해수가 생성된다. 이 산성수를 처리하여 딸기 흰가루병에 대한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흰가루병에 대한 예방효과는 80%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치료효과는 30%로 낮게 나타났다.


    딸기 흰가루병 약제방제효과(논산딸기시험장, 1999)

    공시약제

    이병과율(%)

    방제가(%)

    산성수(예방)

    8.6

    76.8

    산성수(치료)

    26.2

    29.4

    대조약제

    8.0

    78.4

    무처리

    37.1

    -


    따라서 전해산성수를 예방적으로 살포시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고 치료효과는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해수의 농업현장 적응시 문제점으로는, 예방적 측면에서 엽면살포시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므로 무인 방제시스템 도입이 검토되어야 하며, 치료적 측면에서 흰가루병 약제와 혼용, 저농약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흰가루병 증상(발생초기에 꽃잎에 붉은 색소 형성)



    문88 응애의 적절한 방제방법은?

    응애는 잎이나 과일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으로 가장 방제가 어렵다고 한다. 주로 고온건조한 상태에서 발생이 많은데 2월 초순부터 발생한다. 딸기에 발생하는 응애는 점박이 응애로 이동은 자묘, 사람, 바람 등으로 이동한다. 몸색깔은 연황록색으로 발생초기에는 발견하기가 힘들며 겨울철 야외에서는 활동하지 않으나 시설재배에서는 2월하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며 3월 이후에 피해가 심해져 적기에 방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가 어렵게 된다. 특히 응애는 하엽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3~4엽을 남겨두고 약제살포를 하면 효과적이다. 국내 딸기에 고시된 약제는 밀베노크, 살비왕, 피라니카 등이 있다.


    천적의 이용

    천적에 의한 점박이 응애방제는 이미 실용화 되어 있으며 천적은 칠레이리응애를 사용한다. 투입시기는 잎 당 5마리 정도일 때 200평에 2,000마리 정도를 방사한다.

    칠레이리응애는 하루에 점박이 응애 알 30개, 유충 15개, 약충 8개와 성충 3마리정도를 잡아먹으므로 방제 효과가 크다.

    천적은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니 구입해서 사용하면 된다. 최근에는 천적만을 수집하여 판매하는 업체도 생겨 직접 사육하지 않아도 이용이 가능하다.

    1) 천적 투입방법

    ○ 투입시기 : 딸기 하위잎에 점박이응애 발생잎 비율이 10% 미만일 때

    ○ 투입량 : 200평 하우스에 2,000마리씩 1~3회 투입, 발생정도에 따라 투입 횟수 조절

    ○ 투입방법 : 5m 간격으로 이랑에 서로 어긋나게 놓음

    2) 천적 사용시 주의사항

    ○ 천적을 죽이는 농약살포는 하지 않는다.

    ○ 천적방사 시기가 늦으면 천적이 점박이응애를 포식할때까지 응애피해를 입는다.

    ○ 천적을 전 포장에 고루 방사한다.

    ○ 천적은 75%이상의 습도, 20℃에서 증식력이 높아 너무 건조하면 점박이응애 피해를 입는다.


    주요 해충과 천적의 종류

    해충

    천적

    진딧물

    콜레마니 진딧물, 진디혹파리, 풀잠자리, 무당벌레

    점박이응애

    칠레이리응애, 쿠쿠메리스응애

    총채벌레

    애꽃노린재, 쿠쿠메스응애

    온실가루이

    온실가루이좀벌


    천적을 이용한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는 안전농산물을 원하는 소비자 기호도와 맞물려 점차 증가하리라고 생각된다. 현재 천적 곤충은 140여종이 개발되어 상품화 되었으며, 국내 도입도 가속화되어 칠레이리응애를 이용한 점박이응애방제, 무당벌레, 진디벌을 이용한 진딧물방제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잎에 나타난 응애 피해


    천적을 이용한 응애방제

    <칠레이리응애를 접종한 콩잎을 응애 피해주에 놓는다>



    문89 잎선충 방제 대책은?

    딸기에서의 잎선충의 발생은 94년 농업과학기술원 보고에 의하면 전국의 17.6%~50%인 것으로 조사될 정도로 발생이 심한 병이다. 대표적인 피해증상은 잎표면이 거칠어지고 펼쳐지지 못하고 오그라지며 엽병이 붉은색을 띤다. 육묘기에는 런너의 마디사이가 짧아지며 심한 경우는 생장점이 말라죽어 곁눈이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늘고 있으며 심하면 포기가 위축되고 뿌리가 뻗어가지 못하고 관부주위에 뭉쳐 있다.

    농민들은 이병을 미나리 딸기, 멍텅구리병, 고사리병, 무시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병은 대부분 모주에서 전파되므로 무병묘를 사용하거나 침수되지 않도록 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약제방제로는 정식전에 선충탄을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뿌리혹선충 피해주의 뿌리상태(장희)


    딸기 잎선충(여봉)



    문90 위황병 방제와 주의할 품종은?

    위황병은 과거 보조조생 품종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혔던 토양병으로 최근에 신품종(도치오토메, 레드펄)등에서 피해가 재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번 발병하면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사전에 토양을 철저히 소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증상으로는 잎의 1, 2매가 황화(누렇게 변함)되거나 황화되지 않은 잎보다 작을때(짝잎)에는 발병묘라고 보아야 한다. 특히 연작을 하면 피해가 더욱 심하여 균의 밀도가 높으면 약제 방제로도 효과가 적다. 또한 어미포기에 침입하면 자묘에서도 대부분 발병하므로 모주선발시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예방방법으로 볏짚을 매년 2톤정도 투입하여 태양열에 의한 소독을 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위황병에는 최근 개발된 길항 미생물을 이용하여 병원균을 억제시키는 방법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즉 슈도모나스 글라디올라이균을 파뿌리에 접종하여 모주와 같이 심거나 자묘 주위에 같이 혼식하여도 병원균을 억제시킬 수 있다. 약제방제로는 발병된 포장에서는 쿠퍼(코사이드)수화제 500배액을 관주해 주면 억제되기도 한다. 그러나 발병된 포기는 완전한 치료가 되지 않으므로 즉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최근 도입된 도치오토메는 이병에 매우 약하므로 무병묘나 건전한 포기를 선발하여 육묘를 해야 하며 레드펄은 이 병에 대한 저항성이 중정도이다.


    위황병 피해주와 잎의 모양



    문91 우리나라 딸기포장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종류와 발생 실태를 요약한다면?

    국내에 보고된 딸기의 병해는 16종이 있고, 해충으로는 33종이 있다. 그중 딸기에 많은 피해를 주는 것은 탄저병, 역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응애, 대만 총채벌레 등이며 눈마름병, 뱀눈무늬병, 윤반병, 진딧물 등에도 약하지만 피해정도나 방제에 큰 어려움은 없다. 병해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발생시기 등을 주의깊게 관찰하여 예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딸기 포장에 나타나는 주요 병해충의 발생실태를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5년간 조사한 것의 평균을 비교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딸기포장에 나타나는 주요 병해충 발생실태

    병해충 종류

    주요발생시기

    탄저병

    6, 7, 8, 9, 10월

    잿빛곰팡이병

    1, 2, 3, 4, 5월

    흰가루병

    3, 4, 5, 6월

    윤반병

    6, 7, 8월

    뱀눈무늬명

    3, 6, 7월

    점박이응애

    12, 1, 2, 3, 4, 5, 6월

    목화진딧물

    11, 12, 2, 3, 4, 5, 6월

    총채벌레

    4, 5월

    파밤나방

    9, 10, 11월

    ※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5년간 조사 평균


    국내에 보고된 딸기 병해명

    (한국 식물병명목록, 1998)

    발생위치

    병명

    검은 무늬병, 겹무늬병, 잎마름병, 뱀눈무늬병, 갈색무늬병,

    흰무늬병, 바이러스병(5종), 점균병

    과실

    잿빛곰팡이병, 무름병, 흰가루병

    뿌리

    뿌리썩음병(3종),

    크라운(관부)

    위황병, 역병, 탄저병, 눈마름병


    딸기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

    과명

    해충명

    민정달팽이과

    들민달팽이

    응애과

    점박이응애, 점박이응애붙이, 차응애

    톡토기과

    알톡토기

    메뚜기과

    섬서구메뚜기

    총채벌레과

    대만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싸리총채벌레, 하와이총채벌레

    진딧물과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애못털진딧물, 딸기뿌리진딧물

    풍뎅이과

    애풍뎅이, 우단풍뎅이

    거위벌레과

    검정장미거위벌레, 애검은거위벌레

    바구미과

    딸기꽃바구미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클로버잎벌레

    명나방과

    주홍날개들명나방

    밤나방과

    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도둑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칼무늬나방, 배저녁나방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혹파리과

    혹파리일종

    가루이과

    온실가루이



    문92 가장 효과적인 병충해 종합방제 체계는?

    그 동안 딸기시험장에서 개화기 이전에 예방위주의 종합방제시험 결과 하우스안의 병원균 및 해충의 밀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었다. 그리고 수확중기 이후에는 응애의 천적인 칠레이리 응애를 투입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998년 개화기 이전에 흰가루병, 응애 진딧물약제를 3회 살포한 결과 흰가루병은 82%, 응애는 90%의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때 병해충의 첫 발생은 무방제에 비해 진딧물은 17일, 응애는 24일 늦게 발생되었다. 이듬해 1999년 농가시험에서 개화이전에 흰가루병, 응애 약제를 4회 살포한 결과 3월까지도 흰가루병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고, 2월 중순에 천적투입 결과 수확기까지 낮은 밀도를 유지하며 응애의 농약방제가 전혀 필요치 않았다.

    아래의 표는 딸기의 종합방제체계를 육묘기와 정식기로 구분해 정리하였다. 미리 사전방제에 철저를 기해 농약사용량 감소에 따른 생산비 절감과 안전농산물 생산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육묘기 딸기의 병충해 방제

    살포횟수

    시기

    살포

    시기

    대상병해

    살균제

    대상해충

    살충제

    비고

    1회

    5월 상순

    정식후

    흰가루병, 위황병, 뱀눈무늬병

    산요루, 

    트리후민, 

    훼나리, 

    쿠퍼

    점박이응애,

    진딧물

    피라니카, 

    카스케이드, 

    코니도

    정식전 

    방제

    2회

    6월 

    하순

    장마전

    탄저병, 윤반병, 뱀눈무늬병

    안트라콜, 

    다이센

     

     

     

    3~4회

    7월 

    중상순

    장마후

    탄저병, 흰가루병, 위황병

    오티바, 

    디치, 

    바이코

    딸기잎벌레

     

     

    5회

    8, 

    9월

    태풍후, 

    런너

    작업후

    탄저병, 흰가루병, 위황병

    오티바, 

    디치, 

    바이코, 

    쿠퍼

    파밤나방

    스튜어드, 

    미믹

     

    6회

    10월 

    상중순

    정식

    직전

    흰가루병

    흰가루병

    점박이응애, 

    진딧물

    살비왕, 

    밀베노크, 

    모스피란

    정식전 

    방해


    정식기 딸기의 병충해 방제(촉성재배)

    시기(월)

    재배작업

    약제살포 횟수

    병해충

    약제명

    9

    상순~정식

     

     

     

    10

    하순~멀칭, 개화

    1-2회

    흰가루병, 진딧물

    산요루, 트리후민,

    모스피란

    11

    상순~비닐피복후 

    보온개시 

    중순~전조처리

    3회

    흰가루병, 응애

    훼나리, 해비치,

    피라니카, 밀베노크

    12

    중순~첫수확

    4회

    응애

    밀베노크, 살비왕

    1

     

     

     

     

    2

     

    천적투입

    응애

     

    3

     

    유기농업

    흰가루병, 진딧물

     

    4

     

     


    정식기 딸기의 병충해 방제(반촉성재배)

    시기(월)

    재배작업

    약제살포 횟수

    병해충

    약제명

    9

     

     

     

     

    10

    상순~정식

     

     

     

    11

     

     

     

     

    12

    초순~비닐피복

    1-2회

    흰가루병, 응애진딧물

    산요루, 트리후민, 밀베노크, 실비랑, 피라니카 모스피란

    1

    상순~개화

    3-4회

    흰가루병, 응애

    훼나리, 해비치, 피라니카, 밀베노크, 살비왕

    2

    중순~첫수확

     

     

     

    3

     

    천적투입

    응애

     

    4

     

    유기농업

    흰가루병, 진딧물

     



    문93 딸기를 가해하는 두더지, 달팽이, 쥐 피해를 막자.


    두더지, 쥐를 막자

    퇴비를 많이 투입한 토양일수록 두더지 피해가 심각하며 식성이 강해 활동범위가 넓다. 두더지는 소리를 싫어하며 겁이 많고 둔한 것 같지만 섬세한 감각으로 진동의 감지가 빠르며, 냄새를 싫어하는 특성이 있다. 방제방법으로는 통로에 폐유를 묻힌 종이를 넣는 방법과 생선창자를 넣는 방법도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번데기에 살충제를 혼합하여 넣어두는 것도 방제에 효과적이다. 손으로 잡을때는 구멍을 파고 있는 40~50㎝ 뒤의 지점을 발로 밟아 통로를 막아서 손으로 잡아내면 된다.

    달팽이 및 땅강아지 방제법?

    보온기에 접어들어 토양에서 달팽이가 발생하여 수확기에 딸기과실에 피해를 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달팽이의 특성은 속도가 매우 느리며 음지쪽을 잘 다닌다. 달팽이는 건조에 약하며 단것을 좋아하는 반면 자극성을 싫어한다. 농약에 의한 방제도 있으나 방제약이 비싸 사용을 꺼려하고 있어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을 소개한다. 깻묵 500g + 막걸리 500㎖ + 모캡 200g을 잘 섞어 이랑사이에 놓아두면 먹고 죽는다. 묘 포장에서의 땅강아지는 모캡을 토양에 살포하면 효과적이며, 정식포에서는 묘에 잔류가 되므로 사용을 자제한다.




    '베리정보 > 스토르베리_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장 수확과 출하기술  (0) 2012.03.22
    제10장 생리장해  (0) 2012.03.22
    제9장 수막하우스 시설  (0) 2012.03.22
    제8장 토양관리와 시비  (0) 2012.03.22
    제6장 정식 및 정식후 관리  (0) 2012.03.22

    댓글

Designed by Tistory.